티스토리 뷰

4P(제품, 가격, 유통, 촉진), 7P(사람, 물리적 증거, 과정/절차), 6P(영향력, 홍보활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4P마케팅믹스(전통적)

마케팅믹스, 전통적 마케팅믹스, 4P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립니다. Marketing에서 가장 기본적인 개념이며 Marketing Mix는 고객과 소통하고, 고객을 만족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것들 중 기업이 제어할 수 있는 요소입니다. 전통적 마케팅 믹스(traditional marketing mix)는 제품(product)과 가격(price)과 유통(place), 그리고 촉진(promotion) 이렇게 구성이 되어 있어 4P라고 부릅니다. 제품 계획, 가격정책, 판매 경로 정책, 홍보, 인적 판매활동, 판매촉진은 굉장히 중요한 요소입니다. 믹스라고 부르는 이유는 각 요소들이 서로 관련이 있고, 서로 일정 부분을 서로 의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더 나아가 주어진 시기, 주어진 세분화된 시장에 가장 적합한 믹스(optimal mix 최적 배합)가 있음을 담고 있기도 합니다.

 

 

제품, 유통, 촉진, 가격의 각 영역별 주요 전략적 의사결정 항목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4P 중에서 제품(product)은 물리적 제품 특징, 품질 수준, 액세서리, 포장, 보증, 제품계열, 브랜딩 등이고, 유통(place)은 경로 유형, 노출, 중간상, 점포입지, 경로 관리, 보관, 수송 등이며 촉진(promotion)은 촉진 믹스, 판매촉진, 홍보, 인터넷/웹 전략, 판매원(선발, 훈련, 인센티브), 광고(매체유형, 광고 유형) 등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가격(price)은 유연성, 가격 수준, 조건, 차별화, 공제, 할인 등이 있습니다.

 

4P마케팅믹스 사례를 정리했습니다. 혹시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 글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4P 믹스 마케팅 사례(커피믹스, 비빔면, 정수기)

기존 마케팅이 막히면 4P 믹스 마케팅 전략으로 돌파구를 찾아야 합니다. 4P 믹스 마케팅 사례 1. 커피믹스 - 신제품 전략 우리 어머니께서는 집에서 점심을 먹고 나면 꼭 찾는 것이 커피믹스입니

sa-money1.tistory.com

 

서비스마케팅믹스(7P모형, 확장된)

위에서 알아본 기존의 4P에 사람(people), 물리적 증거(physical evidence), 절차/과정(process)을 더한 개념입니다. 7P, 확장된 서비스믹스, 서비스마케팅믹스, 7P 모형 등으로 불립니다. 서비스는 생산과 소비가 함께(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비자(사람, people)는 기업의 공장의 생산에 참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기업의 직원(사람, people)들과 직접 접촉하고 서비스의 생산과정이 이루어질 때 실제로 참여하기도 합니다. 즉 사람(people)은 서비스를 직접 수행하는 직원(점원, 종업원)과 해당 고객(소비자, 구매자, 이용자)으로 구성된 사람 요인을 말합니다. 또한 서비스는 무형성이라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용자가 느끼고, 경험하게 될 서비스를 미리 상상할 수 있도록 이해시킬 수 있는 그 어떤 유형적인 것을 보여 줄 필요가 있습니다. 이것을 물리적 증거(physical evidence)라고 합니다. 소비자에게 보여줄 물리적 증거(physical evidence)에는 간판, 시설, 인테리어, 디자인, 유니폼 등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절차/과정(process)은 서비스를 제공할 때 맞춤화할 것인지 표준화할 것인지, 이용자의 참여를 어느 정도까지 유지할 것인지에 대한 의사 결정 요인인 서비스 제공 과정을 말합니다.

 

 

사람(people), 물리적 증거(physical evidence), 절차/과정(process)의 각 영역별 주요 전략적 의사결정 항목을 알아보겠습니다. 사람(people)에는 직원(리크루팅, 훈련, 팀워크, 동기부여, 보상), 고객(교육, 훈련) 등이 있으며, 물리적 증거(physical evidence)에는 시설 설계, 장비, 직원 의상, 표식, 기타 유형 단서(명함, 연설문, 보고서, 보증) 등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과정/절차(process)에는 단계의 수(단순, 복잡), 고객 관여도, 활동의 흐름(표준화, 고객화) 등이 있습니다.

 

서비스에서 사람은 엄청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고객은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에 따라 그 기업에 받는 느낌이 달라지고, 전체적인 서비스 품질에서 점원의 태도, 행동, 말투 등을 크게 생각합니다. 따라서 기업은 서비스 접점에서 직접 고객과 접촉하는 직원의 서비스에 대한 부분을 항상 신경을 써야 합니다. 또한 기차, 비행기, 미용실, 음식점 등에서 고객이 서비스를 이용할 때 그 시간에 함께 그 서비스를 받고 있는 다른 고객들의 행동, 태도, 말 등에서도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직원들은 다른 고객들에게 불편함, 불안감, 불쾌감 등을 주는 행동, 말을 하는 고객들을 수시로 관리, 제재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람, 물리적 증거와 과정/절차도 기업의 통제 범위 안에 있으며 구매자의 초기 구매의사결정과 만족과 재구매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4P는 과거 산업화 시대에서는 충분한 요소였지만 요즘 같은 서비스 시대에는 기존 제품, 가격, 유통, 촉진에 사람, 물리적 증거, 과정/절차를 더한 7P으로 확장해서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6P메가마케팅

근래에 새로 부각된 신조어입니다. 주로 다국적 기업, 대기업들이 해외시장에서 다각적, 차별적으로 벌이는 marketing을 말합니다, 4P에 영향력(power), 홍보활동(public relations)이 추가되어 6P, 메가마케팅 전략이라고 부릅니다.